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3)
희귀 광물 채굴 기업 TOP 10과 그들의 시장 점유율 분석 - 2 6. Ganfeng Lithium Co., Ltd.국가: 중국 | 시장 점유율: 약 13-15% (리튬 기준)Ganfeng Lithium은 중국 최대의 리튬 화합물 생산 기업이자, 세계적인 리튬 채굴·정제·재활용 종합 기업이다. 아르헨티나, 멕시코, 호주, 아프리카 등에서 리튬 광산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기술에서도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Ganfeng은 특히 LFP(리튬인산철) 및 NMC(니켈-망간-코발트) 계열 배터리에 적합한 수산화리튬 생산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국내 수요는 물론 테슬라, BMW, LG 등과의 글로벌 공급 계약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응성 리튬 메탈과 고체 전해질 소재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으며, 내재화 전략을 통해 소재-셀-배..
희귀 광물 채굴 기업 TOP 10과 그들의 시장 점유율 분석 - 1 개요희귀 광물은 첨단 기술 산업과 재생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풍력 터빈, 군수 산업 등에 널리 사용되며, 이에 따라 희귀 광물을 생산하고 가공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전략과 시장 점유율은 각국의 자원 안보 및 산업 경쟁력과 직결된다. 본 글에서는 전 세계 희귀 광물 산업을 주도하는 10대 채굴 기업을 중심으로, 이들의 생산 능력, 공급망 전략, 시장 점유율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희귀 광물 시장의 구조와 향후 변화 가능성을 예측해보고자 한다.1. China Northern Rare Earth Group (중국북방희토그룹)국가: 중국 | 시장 점유율: 약 25% (희토류 기준)China Northern Rare Earth..
희귀 광물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국가별 정책 비교 - 3 14. 몽골: 중국 대안 자원 공급처로 주목몽골은 풍부한 희토류와 희귀 광물 매장량을 바탕으로 자원 전략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인접한 지리적 이점과 정치적 중립성을 바탕으로, 서방 국가들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대안 공급지로서 몽골을 주목하고 있다. 몽골 정부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법적·행정적 인프라를 정비하고 있으며, 미국 국제개발금융공사(DFC) 및 일본 JOGMEC 등과 협력하여 희토류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탄알라이 리튬 프로젝트와 토고트 희토류 광산이 있다. 몽골은 자원 개발과 동시에 환경 보호를 위한 지속가능한 채굴 정책 수립에도 나서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친환경 공급망에 부합하는 조건을 갖춰 나가고 있다. 15. 카자흐스탄: 유라시..
희귀 광물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국가별 정책 비교 - 2 6. 인도: 자국 내 자원 개발과 외교적 협력 확대인도는 전통적으로 희귀 광물 확보에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전기차, 재생에너지, 디지털 산업의 부상에 따라 전략적 자원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인도 지질조사국(GSI)은 자국 내 희귀 광물 매장지역에 대한 조사와 탐사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잠무 카슈미르 지역에서 대규모 리튬 매장지가 확인되어 주목을 받았다. 인도 정부는 ‘핵심 광물 전략(Critical Mineral Strategy)’을 수립하고, 호주, 아르헨티나, 칠레 등 리튬 생산국과 양자 협정을 체결하며 자원 외교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인도는 희귀 광물 정제 및 가공 설비 투자에도 나서고 있으며, 일본과 공동으로 희토류 정제 플랜트를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인..
희귀 광물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국가별 정책 비교 - 1 1. 미국: 공급망 다변화와 국내 생산 강화미국은 희귀 광물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 트럼프 행정부 시절부터 시작된 희귀 광물에 대한 전략적 관심은 바이든 행정부 들어 더욱 강화되었다. 미국은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과 ‘국방생산법(DPA, Defense Production Act)’ 등을 통해 희귀 광물의 국내 생산 및 가공 능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동시에 캐나다, 호주, 칠레, 아르헨티나 등 우방국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해 공급망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미국 에너지부(DOE)는 희귀 광물 재활용 기술 개발에 수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미지질조사국(USGS)은 국내 희귀 광물 매장 지역에 대한..
전 세계 리튬 생산과 소비 트렌드: 미래는 어떻게 변화할까? 1. 리튬의 글로벌 수요 급증과 핵심 산업리튬은 '백색 석유'라고 불릴 만큼 현대 산업에서 가장 주목받는 광물 중 하나다. 특히 전기차(EV)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 사용되며, 에너지 저장장치(ESS),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첨단 전자기기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글로벌 리튬 수요는 약 40만 톤이었으며, 2030년까지 최소 6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각국의 전기차 전환 정책, 탄소중립 목표, 그리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리튬 기반 배터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리튬은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 형태로 소비되며, 전체 수요의 70% 이상이 배터리 산업에서 발생한다. 테슬라, BYD, CATL, LG에너지솔루션 등 글로..
러시아의 희귀 광물 자원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 1. 러시아의 희귀 광물 매장량과 전략적 활용 현황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영토를 보유한 국가로서, 그 지하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특히 희귀 광물(Critical Minerals) 분야에서 러시아는 니켈, 팔라듐, 코발트, 플래티넘, 희토류 등 전략 자원을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자국의 경제뿐 아니라 국제 공급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2023년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는 세계 니켈 생산량의 약 11%, 팔라듐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극동 지역과 시베리아 지역에서 채굴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니켈 및 팔라듐 생산업체인 노릴스크 니켈(Nornickel)은 러시아의 자원 영향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2050년 희귀 광물 수요 예측: 가장 중요한 자원은? 1.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희귀 광물 수요의 폭증 2050년까지의 세계는 화석연료 기반 경제에서 벗어나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지속가능한 경제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에너지 전환은 희귀 광물 수요의 폭증을 불러오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리튬 수요는 현재 대비 42배, 코발트는 21배, 니켈은 19배, 희토류는 7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처럼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 수소경제 등 차세대 산업은 광물 자원의 안정적 공급 없이는 실현되기 어렵다. 특히, 고성능 자석, 고효율 배터리, 반도체 소재 등에 필수적인 전략광물의 역할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단순한 채굴량뿐 아니라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