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있는 가정 혹은 이제 곧 태어날 아기를 기다리는 가정에서는 국가로부터 여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에서도 부모급여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부모급여란?
- 부모급여 지원 대상
- 부모급여 금액
- 부모급여 지급일
- 부모급여 신청 방법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란 영아기 아이가 있는 가정을 지원하여 출산 및 양육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국가 정책으로 지원되는 금액입니다.
신청 서비스에 따라 현금 또는 바우처(보육료 또는 종일제 돌봄)로 지급.
어린이집 이용 시 영유아보육료로 신청, 종일제 돌봄 이용 시 종일제 아이돌봄으로 신청 필요
* 바우처(보육료, 종일제아이돌봄) 지원금액이 부모급여 지원금액보다 적은 경우 차액 현금으로 지원
부모급여 지원 대상
부모급여를 들어보신 분이라면 누가 지원 대상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2023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2세 미만 (0~23개월)의 대한민국 국적의 아동이라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해외 거주하는 아동이고 복수국적자라도 대한민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다면 해당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부모급여 금액
부모급여 지급 금액은 아이의 나이에 따라 다른데요, 한눈에 보기 쉽도록 아래에 표로 정리해 놓았으니 참고해주세요~
만 나이 | 지원금액 | 조건 |
0세 (0-11개월) | 월 100만원 현금 | 가정양육 |
1세 (12-23개월) | 월 50만원 현금 | 가정양육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영유아 보육료도 함께 신청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에는 월보육료를 제외하고 남는 금액에 대해서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0세 (0-11개월) 어린이집 재원 시, 월 보육료 전액(보육료 바우처 54만원) + 부모급여 차액 46만원 현금 지급
1세 (12-23개월) 어린이집 재원 시, 월 보육료 전액(보육료 바우처 47만 5천원) + 부모급여 차액 2만 5천원 현금 지급
부모급여 지급일
부모급여가 언제 지급되는지 일정이 매우 궁금하실텐데요, 매달 25일에 신청시 작성한 계좌로 지급됩니다.
만약 신청이 25일 가까이에 되었다면 다음 달 25일에 신청한 달의 부모급여가 함께 지급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
부모급여는 온라인에서 간단하게 신청 가능합니다.
온라인에서 진행하기 어려우신 경우라면 전입신고 된 지역의 주민센터에서 바로 신청 가능합니다.
필요한 구비서류는 아래와 같으며, 신청서는 주민센터에서 받아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
<민원인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
○ 사회보장급여 신청(변경)서 또는 출산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
○ 아동 명의 또는 부모 등의 명의 통장 사본
부모급여는 2세 미만의 아동이 있는 모든 가정에서 받아보실 수 있으니 해당되신다면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셔서 지원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