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귀 광물

희귀 광물 채굴 기업 TOP 10과 그들의 시장 점유율 분석 - 2

6. Ganfeng Lithium Co., Ltd.

국가: 중국 | 시장 점유율: 약 13-15% (리튬 기준)

희귀 광물 채굴 기업 TOP 10과 그들의 시장 점유율 분석 - 2

Ganfeng Lithium은 중국 최대의 리튬 화합물 생산 기업이자, 세계적인 리튬 채굴·정제·재활용 종합 기업이다. 아르헨티나, 멕시코, 호주, 아프리카 등에서 리튬 광산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기술에서도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Ganfeng은 특히 LFP(리튬인산철) 및 NMC(니켈-망간-코발트) 계열 배터리에 적합한 수산화리튬 생산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국내 수요는 물론 테슬라, BMW, LG 등과의 글로벌 공급 계약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응성 리튬 메탈과 고체 전해질 소재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으며, 내재화 전략을 통해 소재-셀-배터리 완제품까지 통합하려는 구조를 구축 중이다.

7. Tianqi Lithium

국가: 중국 | 시장 점유율: 약 12% (리튬 기준)

Tianqi Lithium은 Ganfeng과 함께 중국 리튬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핵심 기업으로, 호주의 Greenbushes 광산과 JV를 맺고 있으며, 중국과 호주에 리튬 정제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2020년대 초 Albemarle과의 지분 조정을 통해 사업 협력을 강화한 바 있으며, 고순도 수산화리튬 생산 능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Tianqi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 확장을 겨냥해 대만, 한국, 유럽 등지에 공급 계약을 확대하고 있으며, 리튬 가격 상승기에는 시장 영향력이 특히 강하게 나타났다. ESG 정책도 강화 중이며, 2022년에는 SBTi 탄소 감축 목표를 수립하는 등 글로벌 투자자 대응도 본격화하고 있다. 

8. IGO Limited

국가: 호주 | 시장 점유율: 약 4-5% (리튬 및 니켈 기준)

IGO Limited는 주로 호주 내 그린부시즈(Greenbushes) 프로젝트와 Kwinana 리튬 정제소를 통해 고순도 배터리용 리튬을 생산하고 있다. Tianqi Lithium과의 합작 투자로 탄탄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니켈, 코발트 등 이차전지용 금속에도 진출하고 있다.

이 기업은 지속가능한 채굴 및 정제 기술을 강조하며, ESG 기준을 강화한 운영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IGO는 배터리 제조사와의 직접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중간 유통단계를 줄이고 있으며, 공급 안정성과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리튬뿐 아니라 니켈 프로젝트인 Nova Operation(서호주) 운영을 통해 멀티 금속 기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9. Pilbara Minerals

국가: 호주 | 시장 점유율: 약 4% (리튬 기준)

Pilbara Minerals는 호주 필바라 지역의 Pilgangoora 광산을 기반으로 한 고순도 리튬 생산 기업이다. 주로 스포듀민 정광(Spodumene Concentrate) 형태로 리튬을 수출하며, 최근에는 한국, 일본, 중국 기업과의 전략적 장기 계약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자체 정제 능력을 키우기 위한 Mid-Stream 프로젝트에도 투자하고 있으며, 생산 능력을 두 배 이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Pilbara Minerals는 세계 리튬 가격의 실시간 변동을 반영한 ‘배터리 원자재 현물 경매 플랫폼(BMX)’을 통해 가격 투명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시장 영향력도 점차 확대 중이다. 

10. Iluka Resources

국가: 호주 | 시장 점유율: 희토류 기준 약 3% (2023 기준 추정)

Iluka Resources는 주로 지르코늄 및 티타늄 생산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희토류 정제 분야로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호주 에넬라이트 프로젝트(Eneligh Rare Earths Refinery)를 중심으로, 희토류 산화물 생산 및 분리 정제 시설을 구축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 상업 생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Iluka는 정부의 희토류 자립화 전략에 따라 연방정부 보조금을 지원받고 있으며, ESG 인증 채굴 방식을 통해 국제 기업들과의 공급 계약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희토류 이외에도 티타늄, 지르코늄 등 고부가가치 소재 생산을 통해 광물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상으로 전 세계 희귀 광물 산업을 이끄는 주요 채굴 기업들을 살펴보았다. 이들 기업은 공급망의 핵심 노드로서 각국의 자원 안보와 첨단산업 전략에 직결되며, 향후 기술, ESG,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영향력이 변동될 수 있다. 앞으로도 시장 구조 변화와 정책적 방향성에 따른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