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광물 채굴 기업 TOP 10과 그들의 시장 점유율 분석 - 2
6. Ganfeng Lithium Co., Ltd.국가: 중국 | 시장 점유율: 약 13-15% (리튬 기준)Ganfeng Lithium은 중국 최대의 리튬 화합물 생산 기업이자, 세계적인 리튬 채굴·정제·재활용 종합 기업이다. 아르헨티나, 멕시코, 호주, 아프리카 등에서 리튬 광산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으며,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기술에서도 선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Ganfeng은 특히 LFP(리튬인산철) 및 NMC(니켈-망간-코발트) 계열 배터리에 적합한 수산화리튬 생산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국내 수요는 물론 테슬라, BMW, LG 등과의 글로벌 공급 계약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응성 리튬 메탈과 고체 전해질 소재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으며, 내재화 전략을 통해 소재-셀-배..
전 세계 리튬 생산과 소비 트렌드: 미래는 어떻게 변화할까?
1. 리튬의 글로벌 수요 급증과 핵심 산업리튬은 '백색 석유'라고 불릴 만큼 현대 산업에서 가장 주목받는 광물 중 하나다. 특히 전기차(EV)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 사용되며, 에너지 저장장치(ESS),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첨단 전자기기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글로벌 리튬 수요는 약 40만 톤이었으며, 2030년까지 최소 6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각국의 전기차 전환 정책, 탄소중립 목표, 그리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리튬 기반 배터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리튬은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 형태로 소비되며, 전체 수요의 70% 이상이 배터리 산업에서 발생한다. 테슬라, BYD, CATL, LG에너지솔루션 등 글로..
러시아의 희귀 광물 자원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
1. 러시아의 희귀 광물 매장량과 전략적 활용 현황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영토를 보유한 국가로서, 그 지하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광물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특히 희귀 광물(Critical Minerals) 분야에서 러시아는 니켈, 팔라듐, 코발트, 플래티넘, 희토류 등 전략 자원을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자국의 경제뿐 아니라 국제 공급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2023년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는 세계 니켈 생산량의 약 11%, 팔라듐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극동 지역과 시베리아 지역에서 채굴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의 니켈 및 팔라듐 생산업체인 노릴스크 니켈(Nornickel)은 러시아의 자원 영향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2050년 희귀 광물 수요 예측: 가장 중요한 자원은?
1.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희귀 광물 수요의 폭증 2050년까지의 세계는 화석연료 기반 경제에서 벗어나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지속가능한 경제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에너지 전환은 희귀 광물 수요의 폭증을 불러오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글로벌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리튬 수요는 현재 대비 42배, 코발트는 21배, 니켈은 19배, 희토류는 7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처럼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 수소경제 등 차세대 산업은 광물 자원의 안정적 공급 없이는 실현되기 어렵다. 특히, 고성능 자석, 고효율 배터리, 반도체 소재 등에 필수적인 전략광물의 역할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단순한 채굴량뿐 아니라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