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로 수출8

[마이크로 수출] 해외 바이어와의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팁 1. 문화적 맥락 이해와 첫인사 전략 해외 바이어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상대국의 비즈니스 문화’와 ‘언어적 뉘앙스’다. 예를 들어, 일본 바이어에게 이메일을 보낼 때는 “拝啓”로 시작해 계절 인사 한두 줄을 먼저 넣고, 마지막에 “敬具”로 맺어 예의를 표해야 하며, 미국·유럽 바이어에게는 직설적이되 친근감을 유지하는 “Dear Ms. Smith, I hope you are doing well.” 와 같은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중국 바이어와는 “您好,感谢您抽出宝贵时间阅读此邮件” 같은 경어체 인사로 시작해야 신뢰를 구축하기 수월하다. • 실전 예시(미국 바이어 첫 Contact) Subject: Introduction of Premium Korean Seaweed Produ.. 2025. 5. 10.
[마이크로 수출] 온라인 무역박람회·비즈니스 매칭 참가 가이드 1. 온라인 무역박람회 개요 및 참여 전 준비온라인 무역박람회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전시회의 물리적 제약을 넘어, 장소·비용·시간을 절약하면서 전 세계 바이어와 접촉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이다. 참가 전에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목표시장·세부 품목 정의: 주력 특산물(해조류·버섯·전통 장류 등)의 타깃 시장(미국·EU·동남아 등)과 바이어 프로파일(도매상·유통사·레스토랑 체인)을 명확히 설정 • KPI 설정: 상담 건수, 화상회의 예약 수, 견적 요청 횟수, 명함 교환 수 등 성공 지표를 사전에 합의 • 예산·인력 배분: 참가비·광고비·사전 홍보비 외에 플랫폼 사용료·번역비용을 포함한 총비용 산정, 담당자(전시·매칭·기술지원) 역할 분담2. 플랫폼 선택 및 등록 절차대기업 중심의 ‘Vir.. 2025. 5. 9.
[마이크로 수출] 소규모 수출용 e커머스 플랫폼 비교 분석 소규모 수출 e커머스 플랫폼의 중요성과 선택 기준소규모 농·수산 특산물을 해외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려면 단순히 상품만 훌륭해서는 부족하다. 해외 현지의 결제 수단·언어·물류망·통관 프로세스를 한 번에 해결해 주는 ‘e커머스 플랫폼’이 필수다. 특히 거래 건당 물량이 작고 다양성이 높은 마이크로 수출에서는 플랫폼 하나만 잘 선택해도 초기 투자비용 절감, 운영 효율화, 현지 마케팅 노출 극대화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다. 플랫폼을 고를 때 가장 먼저 따져볼 항목은 ①지원 국가 및 보유 물류 센터(로컬 창고 유무), ②언어·통화·결제 수단 지원(신용카드, 전자지갑, 은행이체, 할부결제 등), ③수수료 구조(가입비·월정액·매출 수수료 비율·환전 수수료), ④통관·세관 서류 자동화 지원, ⑤현지 .. 2025. 5. 6.
[마이크로 수출] 위생·검역 요건 정리 및 필수 제출 서류 1. 위생·검역 요건의 개요와 국제 규제 동향해외로 농·수산 특산물을 수출할 때는 단순히 제품 품질만 갖추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각국의 위생·검역 요건을 충족해야만 현지 세관을 통과할 수 있으며, 요건 미충족 시 반송·폐기·과태료 부과 등 치명적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생(Sanitary)’과 ‘검역(Phytosanitary)’은 수출 준비 단계에서부터 반드시 점검해야 할 필수 항목이다. 이는 1995년 WTO 검역·위생조치협정(SPS Agreement)에서 규정한 ‘무역장벽이 아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보건·검역 조치’라는 국제 원칙에 따른 것으로, FAO·WHO·IPPC(식물검역협약)·OIE(국제수역사무국) 등이 발간하는 국제 가이드라인을 기본으로 각국이 자국 사정에 맞게 구체.. 2025. 5. 5.
[마이크로 수출] 원산지 증명서 발급 절차와 주의사항 원산지 증명서는 수출입 물품이 어느 국가에서 생산·가공되었는지를 공식적으로 증명해 주는 중요 서류로, 관세 부과 기준과 FTA(자유무역협정) 특혜 관세 적용 여부를 결정짓는다. 특히 국내 농·수산 특산물을 수출할 때는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C/O)’ 발급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여야 무역 분쟁이나 불이익을 피하고, 바이어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 원산지증명서와 FTA 특혜 원산지증명서의 구분부터 실제 발급 절차, 전자 증명 발급 방법, 주요 제출 서류, 그리고 실무상 자주 발생하는 주의사항까지 단계별로 상세히 살펴본다.원산지증명서의 종류와 자격 요건 가. 일반(Non-Preferential) 원산지증명서 • 관세율 분류 및 통계 집계를 위해 발급하며, 발.. 2025. 5. 4.
[마이크로 수출] 품목별 HS Code 확인 및 적정 코드 찾기 완전 가이드 1. HS Code의 이해와 중요성수출입 과정에서 HS(Code Harmonized System) 코드는 관세율 부과, 통계 집계, 무역 협정 적용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다. HS Code가 잘못 지정되면 관세 과소 납부로 과태료를 물거나, 반대로 과도한 관세를 지불해 수출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국내 농·수산 특산물처럼 품종이 다양하고 가공 형태가 복잡한 상품일수록 올바른 코드를 찾는 일이 관건이다. 따라서 수출 준비 단계에서 ‘정확한 HS Code 확인 → 관세율 파악 → 수출 서류 반영’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2. HS Code 구조와 분류 원칙HS Code는 6자리 기준으로 전 세계 통일된 분류 체계이며, 국가별로 두 자리(세 자리)나 네 자리(일부 국가) 등.. 2025. 5. 3.